젤라또 세팅하기

젤라또 세팅 방법

  • 젤라또에서 AI 챗봇 설정 시 다음과 같은 순서를 따라 설정하는 것을 권장합니다.

1. 사전 준비

1

챗봇의 목적 및 사용 시나리오 구상

  • AI 챗봇을 활용하여 누구에게, 무엇을, 어떻게, 왜 제공할지 구상합니다.

  • 구상한 내용을 여러 의도로 분류해 봅니다.

2

시나리오에 맞게 RAG 문서 작성 및 정리

  • 시나리오에 맞게 문서를 정리하고, 지식으로 사용할 문서를 정리합니다.

  • 문서는 PDF 또는 TXT 파일로 준비합니다.

2. 어드민 설정: 챗봇 스타일 설정하기

1

사용자에게 보여질 챗봇의 외관 설정

  • 젤라또 만들기 > 기본 설정 / 스타일 설정에서 챗봇의 스타일을 설정합니다.

  • 첫 인사, 제안 질문, 테마 색상, 위젯 디자인 및 위치 등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.

[ 젤라또 만들기 > 기본 설정 / 스타일 ] 문서를 참고해 주세요.

2

저장 후 챗봇 키 확인하기

  • [젤라또 만들기] 하단의 저장 버튼을 눌러 챗봇을 최초 저장하면 챗봇 키가 생성됩니다.

  • 챗봇 키는 챗봇의 고유 키로 사이트에 챗봇을 설치할 때 사용됩니다.

3. 어드민 설정: 챗봇 지식 설정하기

1

어드민 설정: 지식 센터 문서 업로드

  • 작성한 문서를 젤라또 어드민 [지식 센터] 메뉴에서 파일 업로드를 진행합니다.

지식 센터 문서를 참고해 주세요.

2

어드민 설정: 데이터 스토어 만들기

  • 문서 업로드 완료 후 챗봇의 지식을 의도에 맞게 파일을 분류하여 데이터 스토어를 생성합니다.

  • 데이터 스토어는 AI 챗봇이 RAG 문서를 의도에 맞게 더 정확하고 신속하게 검색하여 답변을 생성할 수 있도록 AI 챗봇에 지식을 인덱싱하는 작업이 진행됩니다.

[ 젤라또 만들기 > 데이터 스토어 ] 문서를 참고해 주세요.

3

어드민 설정: 시나리오 - 행동/플랜 만들기

  • 데이터 스토어 만들기 완료 후 의도에 따라 행동을 작성한 후, 플랜에 행동을 연결합니다.

  • 행동은 AI 챗봇이 처리할 작업 사항입니다. 행동에는 생성된 데이터 스토어를 연결할 수 있으며, 행동에 작성한 지침에 따라 연결된 데이터 스토어의 문서를 검색하여 답변을 생성합니다.

  • 플랜은 사용자 질문을 파악하여 질문에 가장 적합하고, 알맞은 의도(연결된 행동)에 맞게 행동을 분류해주는 역할을 합니다.

[ 젤라또 만들기 > 시나리오 ] 문서를 참고해 주세요.

4

답변 시뮬레이터로 테스트 해보기

  • 챗봇 지식 설정 완료 후 [젤라또 만들기] 페이지 하단 저장 버튼 옆의 답변 시뮬레이터를 활용하여 챗봇의 답변을 확인합니다.

  • 답변 시뮬레이터에서는 질문을 넣어 실제 챗봇이 하는 답변을 확인할 수 있으며, 챗봇 답변 시 시나리오-플랜에서 설정한 어떠한 의도(행동)에 따라 답변을 했는지까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4. 사이트에 챗봇 설치하기

  • 챗봇의 스타일과 지식 등의 설정 후 테스트까지 완료하면 우리 사이트에 챗봇 스크립트를 설치합니다.

Last updated

Was this helpful?